학과안내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뷰티디자인전공
전공개요
전공슬로건 : 숙명뷰티, 세상의 중심에 서다.
본 전공은 2007년 사회교육대학원 미용예술전공으로 출발하여, 현재는 문화예술대학원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뷰티디자인전공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미래에 사회의 주역이 될 뷰티분야 창의적 혁신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전공 인재상 및 교육목표
인재상
- 지덕체를 갖춘 미래형 창의인재
- 미용예술분야 창조적 리더십인재
핵심역량
자기주도적 성장역량 | 능동적 학습을 통한 지식과 태도를 갖추고 자신의 미래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
---|---|
협력적 소통역량 | 열린 사고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상황 맥락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 |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 문제 상황에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제시 능력 |
교육목표
- 뷰티분야 학술적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연구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 인재로서 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전문 뷰티인력을 양성한다.
- 뷰티분야의 질적성장을 이룰 수 있는 창조적 리더십을 겸비한 여성 지도자를 배출한다.
전공특별활동
동아리활동
- 논문스터디
- 뷰티일러스트모임
- 미용실기연구모임
- 미용장연구모임
전공과목
과목명 | 내용 |
---|---|
미용예술론 (THEORY OF BEAUTY ART) |
미용예술에 대한 정체성과 예술적 개념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미용의 예술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
미용산업(경영)론 (THEORY OF BEAUTY INDUSTRY(MANAGEMENT)) |
미용산업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고, 경영학적 측면에서 미용산업이 어떻게 체계화되어야하는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과목으로써 경영학적 이론과 마케팅 기법을 익힐 수 있다. |
미용미학연구 (RESEARCH ON AESTHETICS OF BEAUTY) |
뷰티 디자인과 스타일에 나타난 미를 분석함으로써 미용을 보는 시각과 사고방식에 대해 파악하고, 예술로서의 헤어아트, 아트메이크업, 바디페인팅, 분장예술, 네일아트 등의 뷰티 디자인을 이해하고 뷰티 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미의식의 변화를 연구한다. |
미용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 OF COSMETOLOGY) |
미용학 관련분야의 연구방법 및 목적에 맞는 연구유형, 연구주제선정, 연구계획서, 문헌고찰, 측정 및 검사, 통계와 자료 분석에 대한 기본개념을 습득한 후 선행논문을 토대로 연구유형별 연구의 절차와 논문작성법을 익힌다. |
모발 및 두피과학 (ESCENCE OF HAIR & SCALP) |
모발과 두피의 구조 및 유형을 파악하고 손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모발손상과 탈모의 원리를 연구한다. |
뷰티일러스트레이션 (BEAUTLY IIIUSTRATION) |
드로잉의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인체의 형태 및 비례와 근육 예술사보와 트렌드를 접목하여 다양하고 감각있는 뷰티일러스트레이션 표현 방법을 익히고, 미용예술작품으로 승화한다. |
뷰티서비스운영전략 (OPERATIONAL STRATEGY OF BEAUTY SERVICE) |
미용산업의 경쟁력 함양을 위해 현대 미용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미용기업의 실질적인 운영에 대한 것과 차별화된 미용 서비스제공을 위한 전략을 연구한다. |
뷰티컬러디자인연구 (RESEARCH ON BEAUTY COLOR DESIGN) |
컬러가 주는 메시지의 이해를 통해 미용산업 전반에 걸친 컬러의 적용에 대해 연구한다. |
헤어디자인연구 (STUDY OF HAIR DESIGN) |
미용학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헤어커트를 두상골격에 따라 각도 및 길이를 연구하여 트렌드와 개인의 얼굴형에 맞는 최적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
업스타일조형연구 (STUDY OF UP-STYLE SHAPE) |
두상이나 헤어라인의 모양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업스타일을 조형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가장 이상적인 스타일을 찾아낸다. |
NCS헤어실기교육 방법특론 (SPECIAL TOPICS IN NCS HAIR PRACTICAL TRAINING METHODS) |
NCS기반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따라 교수자를 위한 NCS의 이해를 통해 미용분야 직업학교, 대학 등에서 강의할 수 있는 교수역량을 키운다. |
한국미용예술사연구 (KOREAN HISTORY OF BEAUTY ART) |
한국 미용예술의 근원과 변천과정을 시대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통해 심도있게 연구하고 한국인의 미의식을 분석한다. |
세계미용예술사연구 (RESEARCH ON GLOBAL HISTORY OF BEAUTY ART) |
인류에 대한 미적 관심에 대한 흐름과 이에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 현상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미용예술사에 대한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습득한다. |
창의적 헤어 교수법 (CREATIVE HAIR TEACHING METHOD) |
미용서비스의 실질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비자행동을 연구한다. |
퍼스널이미지메이킹 (PERSONAL IMAGE MAKING) |
퍼스널컬러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자신있는 태도와 스피킹, 이미지메이킹 방법을 교육할 수 있는 뷰티패션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한다. |
피부과학특론 (ADVANCED THEORY OF DERMATOLOGY) |
피부세포와 조직의 구조 및 생리, 기능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기초로 스킨케어방법을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
현대미용문화론 (THEORY OF MODERN BEAUTY CULTURE) |
현대미용의 가치적 현상과 내적 의미를 도출하고 정치, 경제, 사회적 쟁점과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
화장품학특론 (SPECIAL TOPICS IN COSMETICS) |
피부 및 모발화장품의 종류, 성분, 효능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법규 및 최신 화장품 트렌드를 분석한다. |
뷰티트렌드와 디지털마케팅 (BEAUTY TREND & DIGITAL MARKETING) |
급변하는 국내외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IT기반의 다양한 마케팅 솔류션 및 전략을 연구한다. |
뷰티상담CS교육론 (TOPICS IN EDUCATION OF BEAUTY COUNSEL & CS) |
뷰티산업 종사자의 교육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지도자의 역량을 키운다. |
네일미용학특론 (SPECIAL TOPICS IN NAIL BEAUTY) |
네일케어 관련 개념과 기본관리 테크닉, 손발톱의 구조, 위생적 측면을 알아보고 네일컬러링과 익스텐션, 스컬프쳐 등 네일아트 디자인과 미학, 역사와 스타일을 파악한다. |
영화특수분장연구 (RESEARCH ON SPECIAL MAKEUP OF FILM) |
특수분장 및 특수효과의 기술적 변천사를 이해하고 영화 시나리오에 맞는 분장 기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습득함으로써 영화 분장 전문가를 양성한다. |
뷰티콘텐츠와 지식재산권 (BEAUTY CONTENTS & INTELLECTUAL PROPERTY) |
뷰티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서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과 더불어 이를 보호할수 있는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 등에 연구 |
논문지도 | 석사학위 청구논문 작성법을 배우고 익혀 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
논문심사 | 석사학위 청구논문 제출 및 심사 후 학위취득 |
학술대회 참여
- 교수님들과 학생들이 함께 춘/추계 국내 미용분야 학술 대회 참여를 통한 학문적 식견을 넓히고 대학원생으로서 연구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고 있습니다.
졸업 후 진로분야
- 대학교수 & 강사
- 화장품회사 연구원, 교육강사, 무역사무원
- 헤어디자이너
- 미용프랜차이즈 교육강사
- 정부공인기관 교육강사
- 정부기관 국가자격증 심사위원
- 기능대회 심사위원, 미용예술경진대회 심사위원
전공 장학금제도
- 조교 장학금
- 성적우수 장학금
- 원우회 임원 장학금
- 현직교사 장학금/현직 공무원 장학금
- 우수신입생 장학금
- 우수동문 장학금
- 형설 장학금
학과사무실 전화 및 홈페이지 주소
- 사무실: 새힘관 202호
- 전화번호: 2077-7455
- E-MAIL: p135799@sm.ac.kr
- 홈페이지: http://beauty.sookmyung.ac.kr
- 전공 블로그: https://blog.naver.com/p146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