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안내
문화예술대학원
학과 및 전공 명칭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학과개요
세계최고의 리더십 대학을 지향하는 숙명여자대학교는 피아노 교육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전인적인 피아노 교육을 기반으로 사회교육대학원에 피아노페다고지전공을 설립했습니다. 2007년도부터 인재를 양성해 왔으며 2017년도부터는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으로 개편하여 현재에 이르렀고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국내 최고의 음악 교육자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학과 인재상 및 교육목표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힘”이라는 숙명여자대학교 슬로건을 바탕으로 음악과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피아노 연주의 원리를 찾아 강도 높은 실기 교육 및 실용적인 학문 연구와 교재 개발 뿐 아니라 심리학, 생리학, 해부학 등을 연계한 학문의 융합을 통해 숙명여대 피아노교수학전공만이 가지는 특별한 교육과정을 제공합니다. 나아가 숙명여자대학교가 지향하는 섬김 리더십을 갖춘 리더를 양성하기 위하여 실력과 인격에 기독교 영성까지 겸비한, 역량 있는 피아노 교육의 리더를 키웁니다.
입학 전 준비(학과에 적합한 학생)
우리 전공은 머리와 가슴이 뜨거운 학생이라면 만족할 학과과정을 제공합니다. 배움에 대한 열의가 높은 학생이라면 ‘피아노교수학’을 배우는 우리 전공에 적합하고 이미 준비되어 있는 학생입니다. 피아노 지도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하는 분들, 배움에 깊은 관심과 흥미가 있는 분들, 동시에 마음이 따뜻하여 지도하는 학생들에게 피아노 음악의 깊이와 감동을 잘 전달하는 피아노 교사가 되기를 원한다면 저희 전공에서의 학업과정은 물론 그 결과에 분명히 만족할 것입니다.
재학 중 전공 교육과정
피아노교수학전공에서 개설되는 기본과목 외에 피아노 음악과 관련한 여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익히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빠르게 변하고 있는 음악 교육의 시장 흐름을 이해하고 이에 맞게 다양한 피아노 교수법을 능동적으로 배우고 융합하고 활용해서 학생들에게 맞춤 지도가 가능한 능력 있는 피아노 교사로 훈련받습니다. 이와 연관하여 현재 개설되는 교과목으로 현대피아노교수법 및 테크닉, 아동발달과 예술교육, 피아노교수법세미나 등이 있습니다.
- 피아노교수학 논문작성법: 음악에 대한 해석, 피아노교수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며 문헌들을 동시적으로 접근하고 논리적 시작으로 내용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음악교육의 기초적 연구방법론을 배운다. 음악연구의 방법들을 파악하고 주제와 연관지어 연구방법을 찾고 이에 맞는 작성법을 찾는다.
- 피아노교재분석및개발: 피아노 교사에게 가장 핵심적인 기초 교재에 관한 수업으로 유아, 초급, 성인 기초 교재를 선정하며 상세히 분석하고 비교한다. 아울러 학생과 본인에게 적절한 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존 교재의 내용 및 필요성을 개발한다.
- 재즈 반주법: 가요, 뮤지컬, 재즈곡들의 반주법을 익히는 수업으로서 우선 3화음, 7화음, 텐션이 들어간 코드 익히기를 통해 기초를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양손으로 코드를 펼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후 spread voicing, hybrid, poly chord 등을 이용한 고급 반주법을 익혀 실제 곡에 적용해 본다.
- 현대피아노교수법및테크닉: 현대 피아노페다고지의 트렌드인 healthful piano technique를 이해하고 적용한다.
- 초급피아노교수법 및 개론: 피아노 교사로서 자신의 교육관을 정립하고, 피아노교수법의 역사적 발달과 학습 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초급 피아노교수법 교수전략 및 문헌 연구 등을 학습한다. 미취학아동, 취학아동, 성인, 그리고 특수아동을 위한 초급 피아노교수법을 학습하고,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피아노교수법을 통해, 예술융합교육을 통한 피아노교수법을 알아본다.
- 중급피아노교수법 및 문헌: 피아노교육은 가르치는 학생의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 교수법으로 각기 다르게 접근 되어야 한다. 중급 과정의 학생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주요 레퍼토리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고급피아노교수법 및 문헌: 초급, 중급, 고급 과정 중 피아노 전공생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 과정의 피아노문헌에 대한 이론과 교수법을 알아보는 수업이다.
- 건반화성 및 반주법: 화성학 전반에 걸친 여러 화성적 진행들을 건반을 통해 직접 연주, 화성인식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고 화성적 감각의 범위를 넓히는데 주안점을 둔다. 건반으로 연주하며 화성진행을 이해한다.
- 음악분석 1: 모든 예술작품에는 형식미가 존재한다. 음악의 형식을 이해하는 것은 곡의 이해에는 필수적이다. 다양한 곡의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작품에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 피아노 앙상블 문헌: Piano Duo 문헌을 바로크, 고전, 낭만, 20세기 4개의 시대로 나누어 살펴보고 주요 작품을 선택하여 팀을 이루어 다루어본다. 앙상블에서는 서로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소리의 조화를 이루고 작품에 대한 파트너와의 소통과 음악적 배려, 호흡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고려할 점들이 있음을 이해하고 실제 연주를 하며 연주자로서의 경험과 깊이를 더하고 앙상블을 지도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아동발달과 음악교육: 아동의 음악적 발달 및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발달 등 다양한 발달 측면을 이해하여 이를 음악교육 현장에 올바르게 적용한다.
- 연주와 공연문화: 성공적인 연주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구성 준비과정에서부터 실질적인 테크닉 연습과정, 자세, 페달링, 기획 홍보, 연주가 완성되기까지 모든 과정을 배우며 다양한 연주 기술을 통해 듣는 능력과 전반적 연주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나아가 관객의 입장에서 공연문화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안목을 가지고 연주자가 연출자와 비평가의 입장으로 관객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앞서 나가는 예술적 능력을 겸비하고자 한다.
- 피아노교수실습: 학생들이 과에서 배우고 있는 피아노교수법을 어떻게 실제 레슨에 적용시키는지 실제 어린이들을 티칭해보고 토론을 통해 부족한 점을 고쳐나간다. 이 수업은 공개로 진행된다.
- 피아노교수법세미나: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실습을 바탕으로 피아노 교육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교수법과 이론적 배경, 실습 및 평가 방법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참여자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전략을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졸업 후 진로분야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은 2011년에 처음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 2017년 2월까지 총 21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습니다. 많은 졸업생과 수료생들은 피아노 개인지도, 피아노학원, 음악교재 출판사에서 보다 더 심도 있는 피아노 지도, 교재 개발 및 강의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주협회에 참여하여 연주가로서의 활동도 게을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울러 피아노교수학전공에 연관된 학문 분야의 국내∙외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업을 계속하는 졸업생의 수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대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교수학을 직접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취업성공사례
박귀원(2013년 졸업)- 오디 피아노 전임강사. 백석대학교 대학원 강사.
안녕하세요.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 전공 2013년 졸업생 박귀원입니다. 저는 현재 유아 음악 감수성 프로그램 ‘오디’와 백석대학교 음악 대학원에서 유아 피아노 교수법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대학생, 피아노 학원 원장님, 피아노 개인 레스너, 음악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철학, 피아노 교수방법과 원리, 유아발달 등 유아 피아노 교육에 필요한 방법론과 실제를 강의 하고 있습니다.
제가 유아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은 바로 대학원에서부터였습니다. 현재 일하고 있는 ‘오디 피아노’를 대학원 수업을 통해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이전에는 미처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교수법의 이론과 실제를 경험하면서 나에게 맞는 일이 무엇인지, 맞는 대상은 누구인지를 알아 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론뿐인 교수법이 아니라 현재 이뤄지고 있는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지식들을 배웠기 때문에 졸업 후 일을 시작하는데 있어 현실감각을 익히기에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감사한 것은 다양한 실기 과정을 통해 이론에만 치우지지 않는 연주 실력을 겸비한 음악교사가 될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대학원 재학동안 훌륭한 선생님들께 레슨을 받을 수 있었고 다양한 앙상블 연주회와 오케스트라 협연 기회도 가질 수 있었습니다.
현재 대학원 입학을 준비 하시는 분들, 그리고 재학 중인 후배들께 드리고 싶은 이야기는 대학원은 많은 기회를 담고 있는 ‘기회의 상자’라는 것입니다. 저는 대학원을 통하여 이전에는 전혀 꿈꾸지 못했던 강의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제가 수업을 들었던 그 자리에서 직접 강의를 하게 되는 소중한 기회를 얻기도 하였습니다. 대학원을 들어오기 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일이었습니다. 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을 그저 학문으로만 끝내지 마시고 직접 교육의 현장에 뛰어들고 부대끼며 대학원에서 받은 많은 기회를 만끽하시길 바랍니다.
하나라도 더 주고자 항상 애쓰시는 교수님과 각자 교육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선,후배들이 있어 늘 힘이 되고 든든합니다. 앞으로도 피아노 교사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숙명여대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 전공생들의 활약을 기대해봅니다.
김원영(2015년 졸업) - 영산사이버 신학교 출강
안녕하세요
저는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 전공 2015년 졸업생 김원영 입니다. 현재 영산사이버 신학교에서 기초음악이론 및 건반실기를 강의하고 있습니다. 찬양을 위한 건반실기 수업으로 기초적인 음악이론을 비롯하여 건반실기, 즉 건반화성을 포함하여 강의하고 있습니다.
저는 일찍이 피아노를 전공으로 시작하여 미국에서 음악전공으로 학사과정을 마쳤으나 피아노 개인 레스너로서 오랜 시간 타성에 젖어 가르치는 일에 회의가 많았습니다. 그러던 중 제 인생에 변화를 갖고자 숙명여대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시작하게 되었고 새로운 각오로 임하면서 내실을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실용적인 커리큘럼, 즉 훌륭한 교수진의 실기과정을 거치며 실질적으로 이를 접목시킨 전문적인 강의가 결국 저에게 강의를 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알렉산더 테크닉 클래스와 스피치 클래스는 실제적으로 강의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세미나와 마스터클래스 그리고 학술세미나 참석, 정기 듀오연주회, 신인음악회 참여는 피아노 전문 교육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실을 다지며 석사학위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졸업 후에도 교내에서 진행되는 모든 수업이나 특강도 참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교수님께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선후배간에 지속적인 교류로 서로의 음악영역을 꾸준히 다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전공특별활동
전공특강
학기 중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피아노 음악과 관련한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개설되는 특강입니다. 학생들은 특강을 통해 자신의 현재 피아노 연주 및 지도 상태를 점검하고 스스로 좀 더 발전하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되는 뜻깊은 시간을 가집니다.
정기연주회
재학생은 2-4학기 중 1회의 정기연주에 참여해야 합니다. 피아노교수학전공이 연주자를 양성하기 위한 분야는 아니지만, 교육을 해야 하는 선생님의 피아노 실력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재학하는 동안에도 실기에 대한 부분을 놓치지 않습니다.
전공 특색을 고려한 TIP
전공 장학금제도
- 입학성적장학금, 성적장학금, 형설장학금, 원우회임원장학금
학과사무실 전화 및 홈페이지 주소
- 피아노교수학전공 사무실: 새힘관 203호
- 전화번호: 02)2077-7300
- E-MAIL: smpp@sookmyung.ac.kr
- 피아노교수학전공 홈페이지: http://gss.sookmyung.ac.kr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m_pedagogy/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smpp7